Deal/M&A

'메가 캐리어' 흡수 앞둔 에어부산…'유동성 고갈·분리매각' 곳곳 암초

Numbers_ 2024. 3. 28. 09:49

▼기사원문 바로가기

 

'메가 캐리어' 흡수 앞둔 에어부산…'유동성 고갈·분리매각' 곳곳 암초

에어부산이 뜻하지 않은 암초를 만났다. 당초 에어부산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인한 '메가 캐리어'에 흡수되면서 통합LCC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될 전망이었다. 팬데믹 위기로 발생

www.numbers.co.kr

 

두성국 신임 에어부산 대표이사. (사진=에어부산)


에어부산이 뜻하지 않은 암초를 만났다. 당초 에어부산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인한 '메가 캐리어'에 흡수되면서 통합LCC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될 전망이었다. 팬데믹 위기로 발생한 재무안정화를 완성 짓기 전에 통합 전 '분리매각' 이슈까지 겹치며 안팎으로 뒤숭숭한 상황이다.


자본잠식 위기 넘었지만…유동성 확보는 미진


에어부산은 부분자본잠식에 빠졌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말 자본잠식률은 32.6%까지 상승했다. 자본잠식률이 50%를 넘어서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며 2년 연속 유지되면 상장폐지된다. 에어부산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2020년 6월부터 2022년 7월까지 1200억원의 영구채(신종자본증권)를 발행했다. 2020년 발행된 무보증 사모사채는 500억원으로 연이율은 초기 7.2%에서 12.4%까지 불어났다. 발행 2년 후부터는 연 2.5%에 조정금리까지 적용되기 때문이다.

2021년 3월과 6월 발행된 사모사채 역시 연이자율이 각각 12.1%, 12.2%까지 치솟았다. 2052년 만기가 돌아오는 100억원의 영구채(5.9%)를 제외하면 평균 연이율은 10.65%다. 이 중 300억원은 지난해 상환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3회차와 4회차 사모사채가 모두 300억원이지만 4회차 금리가 0.01% 높기에 먼저 상환했다"며 "남은 영구채들도 순차적 상환 계획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남은 영구채는 900억원이다.

영구채는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아 일시적인 부채비율 관리가 용이하다. 실제로 에어부산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626.97%로 전년(869.44%) 대비 242.47%p 하락했다. 다만 금리 부담이 커지며 추후 차환이 어려울 경우 급격한 재무구조 악화의 대표적 요인으로 꼽힌다. 이와 더불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4445억600만원 상당의 유상증자도 단행해 인건비, 운항비용 등 운영자금으로 썼다.

하지만 영구채 발행과 유상증자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어서울의 유동성 확보는 미진한 상태다. 먼저 현금 흐름이 막힌 상태다. 작년 말 기준 에어서울의 현금성자산은 335억2602만원이다. 이는 작년 보유했던 현금성자산의 (1594억3136만원)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수치다.

에어부산의 지난해 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 보유 현황. (자료=전자공시)


분리매각 이슈도 난제…두성국 대표에 주어진 과제


에어부산은 2008년 아시아나항공 지자체인 부산광역시, 주변 지역 기업 등이 공동 출자해 설립된 지역 항공사다. 부산~김포 노선 첫 취항을 시작으로 2018년 코스피 시장 상장에 성공했으며 김해국제공항에 기반을 두고 있다. 최근 부산시와 의회, 시민단체들이 사전 분리매각을 언급하며 나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최근에는 부산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이 공동대응에 나섰다. 부산시의회와 에어부산 분리매각 부산시민운동본부는 26일 기자회견을 갖고 "아무리 외형적으로 손색없는 신공항을 건설해도 다양하고 풍부한 국제노선을 독자적으로 확보하고 있는 독립된 거점 항공사가 없다면 애물단지로 전락할 것"이라며 "다양한 국제노선을 운영하는 동시에 가덕신공항을 거점으로 하는 항공사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주장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합병할 경우 각 회사의 자회사인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은 하나로 합쳐진다. 문제는 통합LCC의 탄생 이후 슬롯 독점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다. 일례로 일본은 여객 부문에 대해 서울 4개 노선(서울-오사카·삿포로·나고야·후쿠오카)과 부산 3개 노선(부산-오사카·삿포로·후쿠오카)에 경쟁 제한이 우려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해당 노선에 운항을 희망하는 항공사가 있을 경우 슬롯을 반납해야 한다. 부산 3개 노선의 경우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에어부산의 슬롯 반납이 유력한 상황이다. 통합 전 분리매각이 거론되는 이유다.

에어부산은 오는 29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두성국 아시아나항공 부사장을 선임한다. 두 대표는 1965년생으로 1989년 아시아나항공에 입사해 여객마케팅팀장과 뉴욕여객지점장, 여객영업담당, 미주지역본부장, 여객본부장 등 주요 직위를 거쳐온 '정통 아시아나맨'이다. 재무안정화와 분리 매각 이슈는 에어부산 수장 자리에 오르게 된 그에게 주어진 첫 과제란 평가가 나온다.


조재훈 기자 cjh@blo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