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원문 바로가기
[어바웃 C] 김규빈 토스증권 대표, 고경쟁 연금저축 도전…상품 혁신성 관건
기업 최고 의사결정권자(CEO, CFO, COO, CIO 등)의 행보에서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김규빈 토스증권 대표이사가 해외주식에 쏠린 토스증권의 수익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한 연금 저축 상품 출
www.numbers.co.kr
기업 최고 의사결정권자(CEO, CFO, COO, CIO 등)의 행보에서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김규빈 토스증권 대표이사가 해외주식에 쏠린 토스증권의 수익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한 연금 저축 상품 출시에 공을 들이고 있다. 후발 주자임에도 소수점 거래를 도입해 해외주식 강자로 떠오른 경험이 있는 만큼 연금 저축에서도 혁신성을 담아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는 평가다.
28일 토스증권에 따르면 올해 연금 저축 상품을 출시하는 등 개인투자자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토스증권은 해외주식 거래를 중심으로 실적을 개선해 왔지만 향후 경쟁이 심화해 수익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수익 다각화를 빠르게 추진할 필요가 커졌다.
토스증권은 지난해 말까진 해외주식 거래량 기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2위를 키움증권이, 3위를 삼성증권이 이었다. 그러나 올해 키움증권이 이벤트를 활용해 고객을 더 확보하며 시장점유율 1위로 치고 올라갔고 중위권에서도 메리츠증권이 1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수수료 인하 정책을 추진하는 등 점차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키움증권(자기자본 약 4조9000억원)과 삼성증권(약 6조9000억원), 메리츠증권(약 6조1000억원) 등은 모두 토스증권(약 1600억원)보다 자기자본 규모에서 엄청난 차이를 나타내는 초대형 증권사들이다. 경쟁이 본격화하면 불리한 상황에 부닥칠 가능성이 크다.
외부 경쟁이 심화한 가운데 토스증권 안에서도 인프라 비용 추가 투자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일이 발생했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가 활성화하며 자동화 주문처리 프로세스(SOR)를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SOR은 투자자의 주문을 보더 유리한 시장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 한국거래소(KRX)와 넥스트레이드 사이에서 가격, 거래량, 유동성 등을 고려한다.
고객에게 유리한 선택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편의 기능이지만 문제는 구축 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 토스증권은 국내주식 거래량이 작아 큰 효과를 누릴 수 없다는 점이다.
토스증권은 외화증권에서 벌어들이는 수탁수수료수익 점유율이 15%로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국내증권을 기준으로 할 때는 순위권 밖으로 밀려난다. SOR 시스템을 활용할 국내 투자자가 적어 시스템 구축의 실익이 크지 않은 셈이다.
토스증권 관계자는 "국내 시장에서 토스증권의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고객 거래 데이터를 살펴보면 비중이 크게 다르지 않다"라면서도 "고객들의 편의 강화 측면에서 SOR 구축은 충분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토스증권이 연금 저축 상품 등을 출시해 수익구조를 다각화하면 해외주식 시장 경쟁률 심화와 투자비용 증가 등을 회피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물론 연금저축 시장은 국내 증권사들이 대부분 진입한 고경쟁 시장이다. 국내 연금저축 시장 규모는 약 400조원 수준으로 은행(약 50%), 증권(약 24%), 보험사(약 23%) 등이 모두 진출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이 최근 연금 사업 조직을 강화하며 비대면 자산관리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고 한국투자증권은 높은 수익률과 다양한 상품으로 고객들을 확보하고 있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연금 저축 상품 기획에서 김 대표의 전문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바라본다. 김 대표는 1989년생으로 국내 증권사 대표 가운데 가장 젊다. 미국 카네기멜론대에서 전자컴퓨터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2015년 오픈마켓 플랫폼인 이베이코리아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를, 2022년 토스증권에서 프로덕트 오너를 맡았다.
김 대표는 토스증권에서 해외채권 거래, 토스증권PC, 실시간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 서비스 출시, 커뮤니티 서비스 고도화 등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품 기획과 출시까지 모든 것을 책임지는 역할에서 성과를 내 대표 자리에 오를 만큼 역량을 인정받았다.
특히 빈약한 자본 규모와 후발 주자로 출발했다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 서비스라는 혁신 상품으로 소액 투자자 시장을 확보해 시장점유율 1, 2위를 다투는 증권사로 올라섰다.
김 대표는 지난해 실적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토스증권은 고객 관심과 성원으로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뤄내고 있으며 향후 차별화한 기술력으로 전 국민의 투자 플랫폼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조윤호 기자 uknow@bloter.net
'어바웃 C > C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바웃 C]'이준호 25년 동행' NHN 정우진, 기업가치 제고 복안은 (0) | 2025.04.02 |
---|---|
[어바웃 C] '1인 3역' 故 한종희 부회장 빈자리…삼성전자, '조기인사'로 공백 채우나 (0) | 2025.03.31 |
김원규 LS증권 대표 연임…"리더십과 전문성으로 성장 이끌어" (0) | 2025.03.25 |
[어바웃C] 서정학 IBK증권 대표, 연임 후 ESG 확대 주력…그룹 내 입지 굳히기 (0) | 2025.03.24 |
[어바웃C] 서정학 IBK증권 대표, 월1회서 주1회 ESG 행보…'300억+α' 시너지 효과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