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원문 바로가기
신생 사모펀드(PEF) 운용사 투논파트너스가 IBK기업은행과 손을 잡고 BNP파리바카디프생명 인수를 재추진한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투논파트너스는 BNP파리바카디프생명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투논파트너스가 조성할 펀드에 IBK기업은행이 출자액의 30%를 넘기지 않는 선에서 전략적투자자(SI)로서 후순위 출자 계획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인수 추진 대상은 지분 100% 전량이다. BNP파리바카디프생명은 대주주인 BNP파리바카디프가 85%의 지분을 보유 중인 외국계 생명보험사다. 나머지 지분은 신한은행(15%)이 가지고 있다. 시장에서 내다보는 BNP파리바카디프생명 인수 가격은 1500억원으로 추산된다.
2023년 5월 설립된 투논파트너스는 지난해 연초부터 BNP파리바카디프생명 인수를 추진해 온 사모펀드(PEF) 운용사다. 당시 BNK금융지주를 SI로 확보했으나 금융당국의 인가를 기대하기 어려워 인수의사를 철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투논파트너스가 오랜 기간 출자자(LP) 확보를 위해 기업은행 등을 설득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IB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BNK금융지주와의 논의가 드롭된 뒤 IBK와 꽤 오래 전부터 얘기한 것으로 안다"며 "매도 측인 본사와 논의를 본격화하려는 단계"라고 귀띔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투논파트너스가 기업은행과 함께 카디프생명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며 “투논은 옛날부터 기업은행을 설득해 왔지만 큰 진전이 없었다”고 말했다.
인수합병(M&A) 성사 여부에 눈길이 모이는 가운데 금융당국 인가 변수가 있어 딜 성사 가능성은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받지 않기 위해 펀드에 최대 지분 29% 출자해도, 당국이 제동을 걸 수 있다는 관측이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을 보면 금융사의 대주주가 되려면 금융당국의 적격성 심사를 받아야 한다. 인수 대금을 일정 수준 이상 낸 출자자(LP)도 함께 자격 심사 대상에 오른다. 금융위는 심사 대상의 법령 위반 정도를 감안해 대주주 적격성을 판단하는데 당국의 승인이 없으면 거래 종결성(Deal Certaint)은 막대한 지장을 입게 된다.
업계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의 보험사 추가 인수에 대해 당국이 반기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IBK기업은행이 지분 100%를 보유한 IBK연금보험이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IBK연금보험은 2023년 감사보고서상 26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유의미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IBK기업은행이 현재 운영하고 있는 IBK연금보험도 크게 성공하지 못하고 있고 계속해서 증자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렇다 보니 당국이 기업은행이 또다른 보험사 인수 추진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어 “기업은행은 보험사 인수에 계속해서 관심을 보였던 곳”이라며 “당국에서 반대하고 있는 입장이기에 IBK기업은행이 PE와 함께 인수를 추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당국에서 고민을 하다가 출자 관련해서 허가를 내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IBK기업은행은 카디프생명 인수와 관련해 현재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간접 투자 방식 등 출자 방식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투논파트너스 관계자는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다.
투논파트너스는 ING생명, 에이스생명, 알리안츠생명, AIG생명의 대표이사를 지낸 정문국 회장이 이끌고 있다. 그는 보험 및 금융 업계에서 약 40년의 경험을 보유한 보험 전문가로 통한다. 김종우 투논파트너스 대표이사의 경우 BNP파리바코리아에서 전무이사 겸 금융기관 커버리지 책임자 등을 거친 인물이다.
남지연 기자 njy@bloter.net
'Deal > 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소노, 티웨이·에어프레미아 합병 '청사진'…3월 주총 분수령 (0) | 2025.01.24 |
---|---|
아워홈 매각에 긴장 고조... '뺏으려는 자와 지키려는 자' (0) | 2025.01.24 |
美 공적 연기금,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특수가스 인수' 찬성 (0) | 2025.01.22 |
[동국씨엠-아주스틸 PMI] 아주스틸, 고금리 차입금 대수술 '금융비용' 개선 초점 (0) | 2025.01.22 |
MG손보 매각 난항에 예보 "청·파산도 대안 중 하나"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