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M&A

최창원의 SK바이오사이언스, 최태원의 SK에 발목 잡히나

Numbers 2024. 6. 27. 11:43

▼기사원문 바로가기

 

최창원의 SK바이오사이언스, 최태원의 SK에 발목 잡히나

SK바이오사이언스의 미래 불확실성이 점점 짙어지고 있다. SK그룹이 리밸런싱을 서두르고 있는 가운데 SK바이오사이언스는 SK팜테코·SK바이오팜과 CGT(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 중복 투자 문제를

www.numbers.co.kr

 

최태원 SK 회장(왼쪽)과 최창원 SK 부회장/사진=블로터 DB


SK바이오사이언스의 미래 불확실성이 점점 짙어지고 있다. SK그룹이 리밸런싱을 서두르고 있는 가운데 SK바이오사이언스는 SK팜테코·SK바이오팜과 CGT(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 중복 투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에 2조4000억원을 투자할 가치가 있는지 논의도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2년 10월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을 담은 ‘SK바이오사이언스(SKBS) 3.0’을 발표했다. SKBS 3.0은 2023년 더욱 구체화됐다. SKBS 3.0의 기본틀은 2027년까지 2조4000억원을 투자해 기존의 백신사업 매출을 꾸준히 늘리면서 CGT사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 역량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이 중 CGT사업은 2025년 완공 목표인 인천 송도 연구·공정 개발(R&PD)센터에 들어서는 CGT CDMO 시설을 활용한다. 보다 빠른 기술·생산력 확보를 위해 다른 CGT 관련 회사의 인수합병(M&A)도 검토 중이다. 이에 더해 제품과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는 CGT사업 전 영역으로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CGT사업은 SK바이오팜과 SK팜테코 또한 전략적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분야다. 최태원 회장이 소유한 SK는 자회사로 SK바이오팜과 SK팜테코를 두고 있다.

SK팜테코는 성장성이 높은 CGT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더해 글로벌 CDMO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2021년 프랑스 CGT 기업인 이포스케시 지분 70%를 인수, CGT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어 2022년에는 미국 CGT CDMO 기업 CBM에 3억5000만달러(약 4868억원)를 투자해 2대 주주로 올라섰다.

SK팜테코 주요 공장·연구시설 현황/사진=SK팜테코 홈페이지


SK바이오팜도 3대 신규 모달리티(약물전달방식)로 RPT(방사성의약품 치료제), TPD(표적단백질분해), CGT를 선정하고 사업계획 수립과 함께 개발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SK바이오팜은 SK팜테코와 SK라이프사이언스와의 협업을 통해 CGT 밸류체인을 만들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작년에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CGT를 개발해 SK팜테코에서 생산하고 이를 SK라이프사이언스에서 판매하는 방식을 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SK바이오사이언스와의 협력 관계 설정을 묻는 질문에 이 사장은 “미국에서 개최되는 바이오USA에 공동으로 부스를 마련하는 등의 협업을 진행한다”고 답했다. 

결국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과 최태원 SK 회장이 CGT 사업을 두고 서로 경쟁하는 구도로 자리잡았다. 향후 리밸런싱 방향에 따라 한 쪽이 CGT 사업을 접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로 인해 SK바이오사이언스에 투자하기로 예정된 2조4000억원 투자가 정말로 필요한지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서든 데스'(돌연사) 위기에 놓인 SK그룹 입장에서는 중복 투자를 막는게 우선일 수 있다. 

SK는 대규모 인수합병(M&A)으로 성장을 거듭해온 특성을 갖고 있다. 그 결과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계열사(219개)를 보유한 그룹으로 나타났다. SK그룹은 이달 28일과 29일 경기 이천 SKMS연구소에서 연례행사 중 하나인 경영전략회의를 열고 주요 계열사 CEO들의 거시적인 경영 방향에 대한 집단지성을 모은다. 계열사 줄이기를 고민 중인 SK가 SK바이오사이언스의 CGT 분야 급속 성장을 위해 M&A를 적극 단행할지 여부는 이 회의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

안치영 기자 acy@blo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