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분석

콘텐츠 향한 네이버의 뚝심…'적자' 제페토에 투자 지속

Numbers 2024. 2. 12. 17:14

▼기사원문 바로가기

 

콘텐츠 향한 네이버의 뚝심…'적자' 제페토에 투자 지속

네이버가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 투자를 이어간다. 네이버는 웹툰·음악·동영상 라이브·메타버스 등 글로벌 소셜·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다. 제페토는 네이버 엔터테

www.numbers.co.kr

 

네이버제트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사진=네이버제트 홈페이지)

 

네이버가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 투자를 이어간다. 네이버는 웹툰·음악·동영상 라이브·메타버스 등 글로벌 소셜·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다. 제페토는 네이버 엔터테인먼트 사업 영역의 기대주다. 이용자 대부분이 해외 Z세대인데다, K팝·패션 브랜드와 마케팅 협력 등 B2B(기업간거래) 확장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제페토는 네이버 그룹사 네이버제트가 운영한다.

네이버는 지난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네이버제트에 장기차입금 1000억원을 대여한다고 공시했다. 이달부터 3년 만기 이자율 6.01%로 600억원을 대여한다. 이어 내년부터 2년 만기 이자율 5.83%에 400억원을 빌려준다. 거래 목적은 '운영자금 대여'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번 자금 투입에 관해 "운영 중인 제페토 사업에 더해 인공지능(AI), 확장현실(XR) 등 신규 기술 트렌드와 콘텐츠 수요에 맞춘 투자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네이버제트는 2021년 소프트뱅크 주도로 약 2200억원 시리즈B 투자를 받은 뒤 2년 넘게 지났다"며 "향후 운영을 위해 적절한 대여금 규모를 설정했다"고 부연했다. 메타버스 사업으로 당장 유의미한 실적을 얻지 못하지만, 미래 콘텐츠 사업을 바라본 투자 가치가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그래픽=블로터)


네이버제트는 2020년 5월 네이버 자회사(지분율 82.96%) 스노우에서 물적분할되면서 설립됐다.

2022년 말 네이버제트 지분율을 보면, 스노우가 67%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소프트뱅크비전펀드2(SVF II Aggregator)가 15.13%, 하이브가 4.04%, 제이와피엔터테인먼트는 3.07%를 보유했다. 소프트뱅크비전펀드는 이들 엔터사와 2021년 말 약 2200억원을 투자했다. 스노우는 2021년부터 세 번에 걸쳐 205억원 자금을 대여했다.

네이버제트는 이 투자를 디딤돌 삼아 미국·홍콩·일본에 법인을 설립하고 콘텐츠·웹 서비스 기업에 투자했다. 특히 2022년 게임개발사 '슈퍼캣'과 합작법인 '젭'(ZEP)을 설립하고, 동명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출시했다.

(자료=네이버제트)


현재 네이버제트가 운영하는 플랫폼은 제페토, 젭, 스티커리(stiker.ly)다. 젭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소규모 모임을 지원한다. 주로 국내 기업, 기관, 학교에서 호응을 얻었다. 스티커리는 글로벌 메신저 와츠앱에서 사용하는 이모티콘을 직접 만들 수 있는 앱이다. 2022년 9월 기준 제페토, 젭, 스티커리 3개 플랫폼을 합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4940만명이다.

특히 제페토는 2023년 일본에서 크게 성장했다.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유료 이용자 결제액(ARPPU)도 40% 이상 늘었다. 산리오, 헬로키티, 원피스, 짱구 등 일본 대형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캐릭터 꾸미기 등 새 서비스를 선보인 결과다.

 

(그래픽=블로터)


네이버제트의 과제는 꾸준한 플랫폼 성장과 흑자 전환이다. 핵심 사업인 제페토 이용자 수가 전 세계에서 증가했지만,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2022년 연간 영업손실(이하 연결기준)은 726억원이다. 매출액은 매년 큰 폭으로 성장했다. 2022년 연간 매출액은 521억원으로, 전년 379억원 보다 37% 성장했다. 2021년 매출액의 전년(86억원) 대비 성장률은 340%를 기록했다. 


윤상은 기자 eun@blo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