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벤처투자

UTC인베, 임상 실패한 브릿지바이오 주식 매도…셈법 따져보니

Numbers 2025. 4. 25. 17:25

▼기사원문 바로가기

 

 

UTC인베, 임상 실패한 브릿지바이오 주식 매도…셈법 따져보니

UTC인베스트먼트가 최근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브릿지바이오) 주식 총 123만6322주를 팔았다. 브릿지바이오의 신약 임상시험 실패로 주가가 잇따라 하한가를 기록하자 손실을 감수하고 매도한

www.numbers.co.kr

 

사진= UTC인베스트먼트


UTC인베스트먼트가 최근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브릿지바이오) 주식 총 123만6322주를 팔았다. 브릿지바이오의 신약 임상시험 실패로 주가가 잇따라 하한가를 기록하자 손실을 감수하고 매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처분 단가를 고려하면 투자원금 대비 90% 이상의 손실이 발생한 셈이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UTC인베스트먼트는 16일부터 22일까지 브릿지바이오 주식 총 123만6332주를 순차적으로 장내매도했다. 이에 보유하고 있던 지분은 기존 9.19%에서 1.58%까지 줄어 5% 지분공시 의무에서도 벗어났다.

UTC인베스트먼트와 브릿지바이오가 처음 투자 인연을 맺은 것은 2017년으로 거슬러올라간다. UTC인베스트먼트는 총 6개 바이오펀드 △유티씨기술사업화투자조합 △유티씨2019바이오벤처투자조합 △유티씨바이오헬스케어2호투자조합 △유티씨바이오헬스케어제3호투자조합을 투자기구로 활용해 브릿지바이오 신주(RCPS)와 구주(보통주)를 사들였다.

2017년 결성된 ‘유티씨기술사업화투자조합’은 브릿지바이오 시리즈B라운드에 참여해 20억원을 투자했다. 이어 2019년 5월 시리즈C 라운드에서는 170억원 규모에 달하는 후속 투자를 단행하며 승부수를 띄웠다. 5개 벤처펀드를 통해 신주 150억원, 구주 20억원을 매입했다. 이어 2020년 9월과 2024년 7월에는 브릿지바이오가 무상증자를 진행함에 따라 148만8166주 무상신주를 취득했다.

하지만 브릿지바이오가 임상에 실패하면서 UTC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한 재무적투자자(FI)는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14일 폐 기능이 저하되는 희귀질환인 폐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의 글로벌 임상 2상에서 유효성 입증에 실패했다고 공시했다. ‘BBT-877’은 2019년 독일 베링거인겔하임에 1조4600억원 규모로 기술이전했다가 반환 받은 후 브릭지바이오가 자체적으로 임상개발을 진행한 주요 파이프라인이다.

해당 공시 이후 브릿지바이오의 주가는 15일부터 5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3월에는 3년간 자기자본 대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이 2회 이상 50%를 초과함에 따라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발생했다. ‘BBT-877’의 기술수출로 관리종목 지정을 해소한다는 방침이었으나, 임상 실패로 상장 폐지 위기까지 몰렸다.

UTC인베스트먼트는 브릿지바이오의 임상실패 공시 이틀 후인 16일부터 순차적으로 보유 지분을 장내매도하기 시작했다. 날짜별로 살펴보면 16일 ‘유티씨바이오헬스케어제5호투자조합’을 통해 보유한 주식 100주를 주당 처분단가 4400원에 매도했다.

이어 18일에는 ‘유티씨특허기술사업화투자조합’을 포함한 5개 투자조합에서 1000주를 매도했다. 이때 주당 처분단가는 2160원으로 처음 매도를 시작할 시점에 비해 반토막이 났다. 22일에는 보유 지분 123만5222주를 한꺼번에 대량매도했다. 5개 투자조합을 통해 투자한 101만6134주는 주당 1465원에 처분했고 ‘유티씨바이오헬스케어제5호투자조합’이 들고 있던 21만9088주는 1486원에 매도했다.

매도수량과 처분단가를 바탕으로 계산해보면 이번에 UTC인베스트먼트가 지분을 처분하면서 회수한 금액은 약 18억1680만원이다. 82만4216주에 해당하는 잔여지분 가치는 23일 종가 1259원 기준 약 9억7000만원으로 집계된다. 매각한 주식 가액과 잔여지분 가치를 합치면 약 28억원으로 투자원금의 약 15%에 불과한 금액이다. 24일 현재 브릿지바이오의 주가는 1180원으로 또다시 전일대비 6.27% 하락했다.

한편 UTC인베스트먼트 외에 투자에 참여한 FI로는 SV인베스트먼트, 신한금융투자, KDB산업은행, 우노인베스트먼트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리가켐바이오(구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가 2023년 유상증자에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했다.

 강기목 기자 key@blo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