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원문 바로가기
HPSP 매각도 연기 '가닥'…'대어' 넘치지만 M&A 시장 '풍요 속 빈곤'
사모펀드(PEF) 운용사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가 올해 상반기에 진행하려던 HPSP 매각 본입찰 일정을 미룰 것으로 보인다. 종잡을 수 없는 금리와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이 확산하면서, HPS
www.numbers.co.kr
사모펀드(PEF) 운용사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가 올해 상반기에 진행하려던 HPSP 매각 본입찰 일정을 미룰 것으로 보인다. 종잡을 수 없는 금리와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이 확산하면서, HPSP는 물론 매물로 나온 다른 조 단위 기업들도 매각 일정을 잇따라 연기하고 있다. 인수합병(M&A) 시장에 대어는 넘치지만 막상 거래는 잠잠한 풍요 속 빈곤 상태가 이어지는 분위기다.
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크레센도는 상반기 내 계획했던 HPSP 매각 본입찰 일정을 연기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앞서 HPSP의 최대주주 크레센도와 매각주관사인 UBS는 올초 예비입찰을 실시했다. MBK파트너스와 블랙스톤, 베인캐피탈 등 글로벌 PE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크레센도는 예비입찰 흥행에 힘입어 상반기 내 본입찰, 연내 매각을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IB 업계 복수의 관계자는 "예비입찰을 통해 인수후보를 몇 곳 선정했지만 본입찰 일정을 늦추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다만 크레센도의 연내 HPSP 매각 마무리 의지는 강한 것으로 전해진다.
HPSP는 반도체 선단 공정에 필수적인 고압수소 어닐링(열처리) 장비를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공급하는 업체다. 지난달 30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1조8745억원이다. 지난해 11월 티저레터 배포 당시 2조8000억원에 달한던 시가총액은 6개월 사이 1조원가량 증발했다. 한때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한 기업가치가 4조~5조원까지 거론되기도 했지만 올해 들어 주가는 약세를 보였다.
크레센도가 보유한 HPSP 지분은 39.42%다. 현 주가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하면 매각가는 1조원대로 거론된다. HPSP가 시장 내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어 높은 몸값에도 글로벌 PE들로부터 관심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크레센도는 금리 불안,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자 본입찰 일정을 미룬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단 HPSP 만의 얘기가 아니다. 시가총액 4조원에 달하는 클래시스도 최근 예입입찰을 진행한 결과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칼라일그룹 등 글로벌 PE들이 대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지만, 매각 절차를 잠정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HPSP와 클래시스 모두 높은 몸값에 매각자와 원매자간 가격 눈높이가 맞지 않는 것이 일정 연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최근 PE들이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도 한몫을 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상반기에는 M&A 시장이 잠잠할 것 같다"며 "국내외 자문사들도 기업이나 PE에게 새정부 출범 전까지 기업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을 제안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관세나 금리 등에서 불확실성이 있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라도 상반기까지는 관망세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한새 기자 sae@bloter.net
'Deal > 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G에어가스 매각 급할 것 없는 맥쿼리…배당 수익도 '착착' (0) | 2025.05.09 |
---|---|
글랜우드PE, LG家 수처리 계열사 잇단 인수…환경업 투자 ‘승부수’ (0) | 2025.05.07 |
[프리드라이프 M&A] 8830억에 웅진 품으로…VIG 투자금 1조 넘게 회수 (0) | 2025.04.30 |
[프리드라이프 M&A] VIG "웅진에 매각 계약 체결...원금 4배 회수" (0) | 2025.04.30 |
골프·헬스 복합 레저시설, M&A 매물로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