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M&A

M&A 매물 한가득 저축은행업계, 거래는 성사되지 않는다

Numbers_ 2024. 4. 5. 16:52

▼기사원문 바로가기

 

M&A 매물 한가득 저축은행업계, 거래는 성사되지 않는다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들의 새 주인 찾기가 길어지고 있다. 비우호적인 업황에 신규 대출마저 사실상 가로막힌 상황이라 인수합병 뒤 공격적인 증자가 이뤄졌던 한화저축은행 사례가 재현될 가

www.numbers.co.kr

 

(이미지=저축은행중앙회 홍보 영상 갈무리)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들의 새 주인 찾기가 길어지고 있다. 비우호적인 업황에 신규 대출마저 사실상 가로막힌 상황이라 인수합병 뒤 공격적인 증자가 이뤄졌던 한화저축은행 사례가 재현될 가능성이 희박해지는 분위기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업계에서 M&A 매물로 거론되는 곳은 당국으로부터 매각명령을 받은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을 포함해 OSB저축은행, 대원저축은행, 대아저축은행, HB저축은행 등이다.

이들 저축은행 중 일부는 수년 전부터 원매자를 물색해 협상까지 마쳤지만 마지막 단계에서 협상이 결렬된 곳도 있다. 대원저축은행이 대표적이다.

대원저축은행 모기업인 대아저축은행은 지난 2018년 LED 업체 씨티젠에 대원저축은행 지분 100%를 넘기는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인수가는 162억원이었다. 순조롭게 진행되던 인수 절차는 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로 지연됐고, 씨티젠은 대아저축은행에 인수 철회 의사를 전달했다.

자본 여력을 갖춘 원매자가 나타나더라도 저축은행을 인수해 수익을 보장할 수 없을 만큼 악화한 업황 때문이다.

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5559억원이다. 저축은행 부실 사태 여파가 지속된 2013년 회계연도 이후 약 10년 만의 적자 전환이다.

저축은행들이 적자로 돌아선 요인은 여럿인데, 특히 고금리 기조로 인한 조달 비용 증가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증가 영향이 컸다.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영업이 제한적인 데다 경기 악화로 신규 대출이 사실상 중단된 상황도 저축은행 인수 기피 요인으로 지목된다.

저축은행법에 따르면 수도권 저축은행은 총여신의 50% 이상, 비수도권 저축은행은 총여신의 40% 이상을 영업구역 안에서 취급해야 한다. 충청 기반 저축은행이 취급한 대출의 최소 40%는 충청 지역에서 실행되는 식이다. 저축은행업계는 영업구역 제한이 비대면 금융 환경 시대에서 뒤처진 낡은 규제라며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각종 금융업무를 취급할 수 있는 은행과 달리 저축은행은 관련법과 당국이 허락한 범위에서만 영업할 수 있는 포지티브 규제를 적용받는다"며 "현실적인 수준에서 규제가 풀리지 않는다면 저축은행 매물에 관심을 가질 곳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또 "저축은행 입장에선 채권 회수를 장담할 수 없는 차주에게 그만큼 높은 금리로 대출을 내줘야 하는데, 법정 최고금리에 가로막혀 중저신용자의 대출 수요와 무관하게 신규 대출을 중단하는 추세"라며 "규제가 엄격하게 적용될 뿐 아니라 수신도 줄어드는 추세를 감당하면서 저축은행을 인수하겠다는 곳이 나타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동지훈 기자 jeehoon@blo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