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원문 바로가기
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베인캐피탈이 최윤범 회장의 우군으로 합류하며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합류했다. 경영권 분쟁의 향방을 가늠할 수 없고 투자 규모가 더 늘어날 수 있는 데다자금 회수(엑시트)가 불투명한 가운데 최 회장의 백기사로 나섰다.
고려아연은 베인캐피탈과 공동으로 총 3조1000억원을 투입해 이날부터 자사주 공개매수에 나섰다. 이 중 고려아연이 약 2조7000억원을, 베인캐피탈이 약 4000억원을 각각 부담한다.
베인캐피탈의 과거 지분 투자 사례는 이번 투자 배경을 이해하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베인캐피탈은 그간 특정 기업의 경영권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백기사 역할을 자처하며 틈새를 노리는 전략으로 딜에 참여해 왔다.
대표적인 사례는 국내 휴젤 투자가 꼽힌다. 베인캐피탈은 지난 2017년 4월 경영권 분쟁 등 내홍을 겪던 휴젤의 경영권 지분을 9275억원에 인수했다. 휴젤은 생화학 박사인 문경엽 대표와 성형외과 의사인 홍성범, 신용호 원장이 주도하고 40여 명의 의사들이 출자해 2001년 설립한 국내 보톡스 회사다. 2003년 보톡스 자체 발에 성공했고 2010년 보톡스제품의 판매를 시작했으며 2015년 코스닥에 상장했다. 당시 휴젤의 최대주주는 동양에이치가 지분 24.36%를 보유하고 있었다. 동양에이치씨는 문 대표와 홍 원장이 각각 43.3%씩 동일하게 지분을 소유하고 있던 특수목적법인(SPC)였다.
문 대표와 홍 원장은 2016년부터 경영권 분쟁을 벌였다. 홍 원장은 동양에이치씨의 지분을 50.75%로 늘리며 실질적 최대주주에 올랐고 휴젤에 경영 참여를 선언했다. 이후 올해 1월 문 대표 해임안건을 놓고 임시주총 소집도 추진했다. 공동창업자 간 경영권 분쟁이 1년 넘게 이어지던 시점에 휴젤은 홍 원장 측의 경영 참여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하며 경영권 분쟁이 일단락되는 분위기였다. 이후 문 대표와 홍 원장은 경영권 분쟁을 끝내고 제3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문 대표는 세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원 마련이 필요했고 홍 원장은 의료 플랫폼 사업 등을 위해 자금이 필요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베인캐피탈은 휴젤의 두 공동창업자가 경영권을 두고 옥신각신하던 사이 인수 기회를 포착했고 발빠르게 움직였다. 경영권 분쟁 틈을 파고들어 딜을 성사시킨 것이다. 그 결과 베인캐피탈은 2017년에 휴젤을 9274억원에 인수할 수 있었다. 이후 휴젤 밸류업(기업가치) 성공해 조 단위 투자금 회수(엑시트)도 완료했다. 베인캐피탈은 2021년 GS-CBC컨소시엄에 휴젤을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GS-CBC 컨소시엄은 GS그룹, 아시아 헬스케어 전문 투자 펀드 CBC그룹, 국내 사모펀드 IMM인베스트먼트, 중동 국부펀드 무바달라로 구성된 해외 SPC다. 이 중 CBC그룹이 최대주주다. 베인캐피탈은 휴젤 매각으로 내부수익률(IRR) 20%를 상회하는 등 성공적으로 투자금을 회수했다.
고려아연과 유사하게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노출된 기업의 경영권 방어를 도운 경험도 있다. 미국 악기 소매 체인점 기타센터(Guitar Center) 투자자 그 예다. 1959년 설립된 기타센터는 기타, 드럼, 키보드 등의 음악 장비를 판매하고 있으며 304개 매장을 운영해 미국에서 가장 큰 악기 소매업체다. 기타센터는 2000년대 중반 디지털 음악시장이 활발해지며 매출 감소 등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기타센터의 일부 주주가 경영진의 전략과 재무 성과에 대한 불만을 나타낸 데다 헤지펀드까지 등장해 기존 경영진의 두려움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2007년 베인캐피탈은 21억달러(부채 포함)를 투입해 기타센터 지분 50%가량을 확보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베인캐피탈은 기존 경영진인 마티 알버트슨(Marty Albertson) 체제를 유지하며 경영진과 협력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기타센터의 기존 경영진은 베인캐피탈의 지원을 바탕으로 경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고 주주와의 소통 등으로 신뢰를 회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타센터 투자 건은 베인캐피탈의 대표적인 투자 실패 사례로 꼽힌다. 인수 자금을 차입 자금으로 충당하는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기타센터를 인수한 방식이 문제가 됐다. 기타센터는 베인캐피탈의 매수를 지원하며 16억달러의 부채를 부담했고 수익성 악화까지 겹치며 재무여건이 크게 악화됐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기타센터가 베인캐피탈의 매수를 지원하기 위해 6억5000만달러의 기간 대출, 7억5000만달러의 채권, 3억7500만달러의 인수금융을 제공했다며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이 과정에서 채무의 출자전환(debt-for-equity swap)이 이뤄져 기타센터의 채권자였던 글로벌 투자사 아레스매니지먼트가 경영권을 보유하게 됐다. 이후 기타센터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 파산 신청을 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칼라일그룹, 브리게이드 캐피털 매니지먼트를 주주로 맞아 경영을 지속하고 있다.
고려아연 투자는 휴젤, 기타센터 사례와 달지만 업계에서는 베인캐피탈이 어떤 결말을 맞을지 관심을 갖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배인캐피탈 등 대규모 미국계 PEF 운용사는 경영권 분쟁 관련 딜이든 형식을 개의치 않고 투자하는 스타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영권 분쟁에서 승기를 잡을 수 있을지, 엑시트까지 성공 사례가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며 “경영권 분쟁인 만큼 엔트리밸류(진입가격) 자체가 높은 데다 더 커질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1984년 설립된 베인캐피탈은 1850억달러(약 250조원)의 운용자산(AUM)을 보유한 미국계 PEF 운용사다.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로 나섰던 밋 롬니 상원의원이 공동 창업자 중 하나다.
남지연 기자 njy@bloter.net
'Deal > 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K “고려아연 자사주 공개매수, 2.7조 부채 부담 우려” (0) | 2024.10.15 |
---|---|
서울 PE, 전환가액 낮춰 '네이처리퍼블릭 투자' 연내 완주 (0) | 2024.10.10 |
[PE톡] 커지는 오너리스크...틈새 파고드는 사모펀드 '적대적 M&A' (0) | 2024.10.02 |
[어바웃 PE]④ '분할 설립 10년' 대신PE의 도전, 올해 2000억 펀드 조성 (0) | 2024.09.24 |
'美 사모펀드' 미리캐피탈, 스틱인베스트먼트 지분 9.2% 확보 (0)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