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새로운 인물을 사외이사로 등용한 다른 지방금융지주와 달리 JB금융지주의 사외이사진이 '장수'를 누리고 있다. 특히 올해 내부규범이 개정돼 사외이사 연임 제한이 풀려 이사회 의장을 포함한 2명의 사외이사가 최대 6년간 재직할 수도 있게 됐다. 변수는 신규 인물 등용을 원하는 2대주주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JB금융은 유관우 이사회 의장을 포함해 △이상복 △정재식 △김우진 △박종일 △성제환 △이성엽 등 7명의 사외이사를 두고 있다.
사외이사는 대주주와 무관한 외부 인사를 이사회에 참가시켜 경영 과정에서 대주주의 전횡을 막는 역할을 한다. 금융지주사에선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이사회가 그룹과 계열사의 최고경영자 경영승계 등 지배구조 정책 수립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고 내부통제 기준이나 위험관리 기준도 제·개정한다.
금융지주사별 사외이사 구성은 제각각이다. 지방 금융지주만 놓고 보면 BNK금융은 6명의 사외이사를 둔다. DGB금융과 JB금융의 사외이사는 각각 7명이다.
회사별로 보면 BNK금융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이광주 △김병덕 △정영석 사외사를 신규 선임했다. DGB금융은 △최용호 △노태식 △조동환 △정재수 사외이사 등을 새로 선임했다. 이들을 제외한 DGB금융 사외이사 3인은 모두 지난해 신규 선임됐다.
이와 달리 JB금융은 짧게는 2년, 길게는 5년간 재직 중인 이들로 사외이사진을 꾸렸다. 사외이사 중 절반가량을 물갈이한 BNK금융, DGB금융 등 다른 지방 금융지주사들과는 대비되는 대목이다.
JB금융 사외이사 면면을 보면 이사회 의장인 유관우 사외이사와 이상복 사외이사는 2019년 처음 선임된 뒤 2021년 재선임됐고 올해 주총에선 1년의 임기를 더 받았다. 2020년 신규 선임된 정재식, 김우진 사외이사도 작년 재선임돼 올해로 4년째 재직 중이다. 성제환 사외이사는 지난 2021년 신규 선임된 뒤 올해 주총에서 2년 임기로 재선임돼 내년까지 총 4년의 임기를 보장받게 됐다. 이성엽 사외이사는 작년 처음 선임돼 JB금융 사외이사 중에선 가장 짧은 재직 기간을 보내는 중이다.
JB금융 내규를 보면 5년째 재직 중인 유관우, 이상복 사외이사의 재선임도 가능하다. JB금융이 내규를 고쳐 당초 5년이었던 사외이사 총 재직 기간을 6년으로 늘렸기 때문이다.
JB금융 관계자는 "사내이사를 제외한 사외이사와 비상임이사로 구성된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주총에서 사외이사가 최종 선임된다"며 "임기 5년차 사외이사는 1년 연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사외이사 재직 기간 1년 연장에 관해서는 "금융회사지배구조법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6년까지 (사외이사 재직이) 가능하도록 개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회사지배구조법에 따르면 금융회사에서 6년 이상 사외이사로 재직했거나 해당 금융회사 또는 그 계열회사에서 사외이사로 재직한 합산 기간이 9년 이상인 사람은 사외이사로 선임될 수 없다. 한 회사에서 재직할 수 있는 사외이사 임기를 6년으로 못박은 조항이다. 이 조항에 따라 KB금융과 BNK금융을 제외한 금융회사들은 사외이사 총 임기로 6년을 적용한다.
5년째 재직 중인 유관우, 이상복 사외이사의 재선임 안건이 내년 주총에서도 상정될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다만 JB금융 내부에서 두 사외이사의 연임으로 가닥이 잡히고, 올해 주총에서 벌어졌던 주주 간 신경전이 재현된다면 잡음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앞서 JB금융 2대주주인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이하 얼라인) 지난 3월 열린 주총에서 사외이사 임기 상한을 확대하는 안건이 상정되자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당시 얼라인은 "JB금융 이사회가 최근 5년간 논의한 210개가 넘는 안건 중 사외이사들의 반대가 0건으로 모든 안건이 견제 없이 가결되는 상황"이라며 내규 변경 반대 근거를 들었다. 그러면서 유관우, 이상복 사외이사 후보의 결격 사유와 성제환 이사의 독립성 이슈에 대한 입장 표명도 요구했다.
얼라인은 내년 주총을 앞두고 JB금융이 어떤 안건을 다루는지에 따라 입장을 정할 방침이다.
이창환 얼라인 대표는 <블로터>와 통화에서 "연초에 (내규 변경에) 반대했던 것은 원칙적으로 이사 연임이 너무 길어지는 것보다 새로운 이사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거버넌스 차원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라며 "내년 주총의 의결권 행사는 회사가 이사 후보 추천을 어떻게 하는지 보고 주요 주주로서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지훈 기자 jeehoon@bloter.net
▼기사원문 바로가기
'Governance > 지배구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대 금융지주 사외이사 임기 만료 임박…연임하자니 '모범관행' 눈치 (0) | 2023.12.25 |
---|---|
[교보생명 풋옵션 분쟁]③ ICC 2차 중재로도 끝나지 않을 가능성 있다 (0) | 2023.12.20 |
'셀프 연임' 규정 없앤 포스코 (1) | 2023.12.20 |
[대기업집단 공시 대해부] 총수 지배력 약화 한화그룹, ‘RSU 제도’ 해법될까 (0) | 2023.12.18 |
위기의 카카오, 준법관리인·리스크관리책임자 역할은 어디로? (1)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