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porate Action/채권

[주총 포커스] 뷰노, 올해도 자금조달 나서나…전환사채 발행 한도 확대

Numbers_ 2025. 3. 25. 16:56

▼기사원문 바로가기

 

 

[주총 포커스] 뷰노, 올해도 자금조달 나서나…전환사채 발행 한도 확대

의료기기 전문업체인 뷰노가 이달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채 발행 한도를 확대하는 정관 변경을 추진한다.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전환사채(CB)를 발행해 3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다. 올해도

www.numbers.co.kr

 

의료기기 전문업체인 뷰노가 이달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채 발행 한도를 확대하는 정관 변경을 추진한다.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전환사채(CB)를 발행해 3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다. 올해도 본격화되는 해외 진출과 누적되는 결손금 해소 등 과제가 있는 만큼, 추가 자금 조달을 위한 대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CB 발행 한도 확대…해외 진출 본격화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뷰노는 28일 주주총회를 열고 재무제표 승인, 사내이사 및 감사 선임과 함께 정관 제21조를 변경한다. 정관 변경을 통해 CB 발행 한도를 기존 액면총액 5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자금조달 여력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뷰노는 그동안 CB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여기에는 본격적인 해외시장 확장 계획이 있다. 앞서 지난해 두 차례 CB를 발행해 총 341억원을 조달하면서 해외진출을 위한 영업비용 목적이라 밝혔다. 지난해 뷰노의 전체 매출 중 내수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은 96%에 달한다. 해외시장 공략에 성공하면 아직 전무하다시피 하는 수출 비중을 늘려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올해 CB 추가 발행 계획은 아직 없다는 입장이다. 뷰노 관계자는 "CB 발행 한도를 늘린 이유는 현재까지 누적 금액이 500억원에 가까워져 상향한 것으로 현재는 자본 확충이 충분히 이뤄져 현재로서 추가 발행 계획은 없다"며 "물론 추가적 SI에 대해서는 열려있다" 고 설명했다.

뷰노는 현재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 진출을 준비 중이다. 주력 제품인 딥카스(DeepCARS)는 입원 환자의 심정지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의료기기로 2023년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하지만 아직 정식 허가를 받지 못해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외에도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등 주요 퇴행성 뇌질환 진단을 지원하는 딥브레인 솔루션도 지난해 7월 미국 시장에서 공식 출시됐다. 아직 잠재 고객사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구채'로 급한 불 껐지만…5년 후 금리 부담

지난해 뷰노의 연결기준 매출은 258억원으로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은 124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2021년 코스닥 상장 이후 지속적인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이 이어지면서 재무 부담을 키웠다. 실제로 지난해 말 연결기준 이익결손금은 1년 전보다 16.2% 증가한 942억원을 기록했다.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비율 리스크도 여전히 남았다. 코스닥 상장사는 3개 사업연도 중 2회 이상 법차손 비율이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2023년 뷰노의 법차손 비율은 311%에 달했다. 다만 뷰노는 기술특례상장 기업으로서 상장 후 3년 동안 해당 요건 적용이 유예됐으나, 지난해 12월부로 유예기간이 종료됐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수익성과 재무구조 개선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서 CB 발행으로 일단 급한 불은 껐다. 당시 발행한 CB는 만기가 30년으로 설정돼 영구채로 분류된다. 영구채는 원금 상환 의무가 없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식된다. 영구채 발행 후 지난해 뷰노의 연결기준 법차손 비율은 42.4%로 줄었다.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16% 이상 감소한데다 영구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면서 자본 총계가 2023년 50억원에서 지난해 306억원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해 12월 발행한 영구채의 경우 표면 이자율이 0%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재무 부담은 적지만 발행 2년 후부터 매년 금리가 4%씩 가산되는 스텝업 조항이 포함돼 있다. 특히 뷰노가 올해 2분기 손익분기점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오는 9월 27일부터 이자율이 추가로 4% 가산되는 조건도 있어 향후 금리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가영 기자 kimgoing@blo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