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이 워크아웃 개시를 두고 채권단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유동성 위기 원인이 된 우발채무 규모를 놓고 서로 상반된 숫자를 제시해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태영건설은 실질적 우발채무가 2조5000억원이라고 주장한 반면 채권단 현황을 통해 드러난 우발채무는 9조5000억원으로 차이가 있다. 모기업으로서 계열사 회생에 자금 출혈이 불가피한 태영그룹과 실질적인 자구안을 요구하는 채권단간 시각차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대목이다.
태영건설이 주장하는 우발채무 규모는 알려진 수치와 7조원가량 차이가 난다. 태영건설은 현재 분양률 75% 미만 사업장, 토지매입, 인허가 단계의 PF를 실질적인 우발채무로 보고 있다.
이미 분양률이 75%를 넘어선 본PF 사업 1조원과 민자사업(SOC) 자금보충 1조원, 수분양자 중도금대출 연대보증 1조3000억원, 책임준공 확약 3조5000억원은 우발채무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건설사 PF 보증을 연대보증, 채무인수, 자금보충, 책임준공 등으로 나눠 우발채무로 인식한다. K-IFRS 도입 초기에는 연대보증과 채무인수만 공시대상으로 한정돼 있었다. 이후 책임준공 등 변형된 보증 형태 중에서도 사업 위험이 큰 경우 공시 대상에 포함하도록 했다.
책임준공 사업장에 대한 해석이 PF 규모를 놓고 이견이 발생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태영건설은 지난해 9월 공시를 통해 PF 보증 규모를 4조4446억원이라고 밝혔다. 책임준공 사업장 중에서도 규모, 공사 진행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위험도가 있다고 판단한 사업장을 포함해 우발채무로 공시한 것이다.
신용평가사들도 태영건설이 공시한 규모와 비슷한 수준으로 우발채무 규모를 추산해 왔다.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용평가는 지난해 11월 기준 태영건설의 PF 보증 금액을 각각 3조6000억원, 3조5000억원 수준으로 추산했다.
신평사가 태영건설 PF 보증을 이처럼 작게 추산한 건 책임준공 확약 보증을 위험도가 높은 우발채무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책임준공의 경우 손실이 발생해도 시공비 수준에서 위험이 제한되는 만큼 실질적인 우발채무로 분류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SOC 민간투자사업도 정부 주관 사업이기에 부실 가능성이 낮아 일반적으로 우발채무로 분류하지 않는다는 게 태영건설의 입장이다. 신용평가사 등 금융권에서도 SOC 보증은 PF 보증에서 제외하는 게 일반적이다.
태영건설은 분양률 75% 이상 사업장인 신진주역세권(810세대), 신경주역세권(945세대)뿐 아니라 경기광주민간공원(1690세대) 등 관련 사업장의 경우 실질적 우발채무 리스크가 큰 사업장으로 분류하지 않는 게 업계 관행이라고 설명했다.
태영건설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분양률이 75%를 넘어서는 사업장의 경우 공사 진행 금액이 확보돼 있는 만큼 우발채무로 분류하지 않는다"며 "중도금 대출 보증의 경우에도 준공 이후 담보대출로 전환되는 만큼 리스크가 큰 채무로 분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태영건설이 토지매입과 인허가 단계인 1조2193억원과 분양률 75% 미만 시공 사업장 1조3066억원이 실질적 우발채무라 주장하는 이유다.
김진현 기자 jin@bloter.net
▼기사원문 바로가기
'Corporate Action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F 팬데믹] 한신공영, PF 익스포저 '수도권ㆍ경북' 사업장 집중 (0) | 2024.01.08 |
---|---|
[PF 팬데믹] SBI·OK저축은행 "태영건설 PF대출 없다"…2011년 트라우마? (0) | 2024.01.05 |
[PF 팬데믹] 태영건설 채권단 절반이 상호금융권…부동산 경기 악화에 위기감 고조 (0) | 2024.01.05 |
[PF 펜데믹] 태영건설, 건공ㆍHUG 보증기관 익스포저 '5.4조원' (1) | 2024.01.04 |
[PF 팬데믹]태영건설 채권단에 신협만 54곳…감출 수 없는 뱅크런 우려 (1)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