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원문 바로가기
[메자닌 투자파일] '300억 조달' 파인엠텍, 폴더블폰 확대 전망에 '베팅'
폴더블 디스플레이 부품 제조기업 파인엠텍이 3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했다. 폴더블 스마트폰 부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설비투자를 먼저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발행 규
www.numbers.co.kr
폴더블 디스플레이 부품 제조기업 파인엠텍이 3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했다. 폴더블 스마트폰 부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설비투자를 먼저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발행 규모가 큰 만큼, 향후 인수자가 전환청구에 나선다면 대규모 물량이 쏟아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파인엠텍은 시설자금 조달을 위해 지난달 23일 300억원 규모의 9회차 사모 CB를 발행했다. 파인테크닉스의 IT부품사업부였던 파인엠텍이 2022년 인적분할로 설립된 후 처음 발행하는 CB다.
앞서 파인테크닉스는 2021년 제7회 사모 CB 250억원과 제8회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BW) 250억원 등 총 500억원의 메자닌을 발행했는데 이는 파인엠텍에 귀속됐다. 당시 조달한 금액이 대부분 IT부품 사업부의 성장에 쓰였기 때문이다. 기발행 메자닌은 대부분 주식으로 전환됐다.
이번에 CB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은 파인엠텍의 폴더블폰 관련 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조달한 자금의 목적을 살펴보면 폴더블 백 플레이트(Back Plate) 신규 설비 투자에 180억원, 유리 소재 가공 설비 투자에 100억원, 자동화 설비 투자와 개조에 20억원을 사용한다. 투자기간은 대부분 이달부터 연말까지로 계획됐다.
파인엠텍이 발행한 CB의 금액은 지난해 3분기 말 연결기준 유동자산 1001억원의 30% 수준이다. 같은 기간 현금성 자산 187억원과 비교하면 2배에 규모다. 대규모 자금조달에 나선 까닭은 폴더블폰에 대한 수요가 올해부터 급격히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파인엠텍은 스마트폰과 전기차 부품 및 모듈 관련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주력 제품은 폴더블폰에 들어가는 ‘멀티 플레이트 어셈블리(Multi Plate Ass’y)’라는 내장힌지(Hinge)다. 내장힌지는 OLED 패널을 접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으로 외부에 드러나는 외장힌지와 달리 내부에 들어가는 폴더블의 핵심 부품이다.
파인엠텍은 지난 2018년부터 제품을 개발하기 시작해 2019년부터 폴더블 스마트폰용 내장 힌지 부품을 납품하기 시작했다. 2023년 매출비중 중 멀티플레이트가 84%를 차지했다. 신성장 동력으로 점찍은 외장힌지도 지난해부터 양산에 들어갔다.
관련 업계에서는 올해 폴더블폰 시장의 성장세에 따른 수혜를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폴더블폰 시장 보급률이 2024년 1.5%에서 2028년 4.8%로 4년 사이에 3.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부터 중화권 업체들이 다양한 폴더블폰을 내놓을 것으로 관측된다. 또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라인업 역시 기존 2종에서 3~4종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파인엠텍은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 조달에 나섰지만 부채 증가를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지난해 3분기 말 연결기준 부채총계는 1702억원으로 2023년 말보다 47.3% 증가했다. 다만 표면 및 만기 이자율은 0.0%이기 때문에 이자 부담은 적다.
발행 규모가 큰 만큼, 향후 전환청구시 오버행(대규모 잠재 물량)과 지분 희석의 우려가 나온다. 파인테크닉스로부터 인적분할 과정에서 승계받은 500억원 규모의 CB와 BW의 상당 물량은 주식으로 전환됐다. 이 과정에서 주가 하락으로 인해 CB와 BW의 전환가액, 행사가액은 하향 리픽싱을 진행했고 이는 신주 발행 물량의 증가로 이어졌다.
9회차 CB의 전환청구 기간은 내년 1월 23일부터 2029년 12월 23일까지다.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수는 536만 2888주, 주식총수 대비 비율은 12.66%다. 전환가액은 5595원이나, 최저조정가액인 3916원까지 리픽싱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환가능주식수는 766만878주로 늘어난다. 기존 메자닌 물량을 전환으로 진행했던 경험이 있는 만큼, 9회차 CB도 전환행사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하는 상황이다.
9회차 CB의 운명은 향후 1년 간 주가 추이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파인엠텍의 주가는 4일 종가 기준 5020원으로 CB 전환가액보다 이미 하락한 상태다.
김가영 기자 kimgoing@bloter.net
'Corporate Action >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자닌 투자파일] ‘콜옵션 행사’ 최호성 엘티씨 대표, ‘주가부양·지배력 보강’ 기대 (0) | 2025.02.07 |
---|---|
LG에너지솔루션, 8000억 회사채 발행한다 (0) | 2025.02.06 |
[코스닥 딜 인사이드] '새주인 맞이' 에스에이티이엔지, 300억 CB '눈길' (0) | 2025.02.06 |
[월간 DCM] 새해 첫 달 회사채 '제동'…정치 불안에 '주춤' (0) | 2025.02.06 |
'회사채 흥행' SK지오센트릭, 채무 상환 속도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