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M&A

우리금융 증권사 인수 주저하는 사이, 대부업 꼬리표 뗀 OK금융 등판

Numbers 2023. 10. 20. 17:04

최윤 OK금융그룹 회장. OK금융그룹은 지난 19일 산하 대부업체인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가 보유한 금전대부업 라이선스를 반납했다. (사진=OK금융그룹)


비은행 계열사 양성을 위해 증권사 인수를 검토 중인 우리금융지주가 대부업 꼬리표를 떼고 종합금융사를 넘보는 OK금융그룹과 경쟁하게 됐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OK금융그룹은 산하 대부업체인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가 보유한 금전대부업 라이선스를 반납했다.

OK금융그룹의 대부업 철수는 지난 2014년 OK저축은행 전신인 예주·예나래저축은행 인수 당시 금융당국에 제출했던 '저축은행 건전 경영 및 이해상충 방지 계획'에 따른 것이다. OK금융그룹은 이 계획의 일환으로 2018년과 2019년 원캐싱과 미즈사랑을 철수한 이후 아프로파이낸셜대부가 보유한 대출채권을 이관하는 작업을 추진했다.

당초 OK금융그룹이 대부업 철수를 약속했던 기한은 내년이다. OK금융그룹은 이보다 1년 3개월여 앞당겨 대부업 철수를 마무리지었다.

OK금융그룹은 대부업 라이선스 반납이 종합금융그룹 출범을 위한 준비 단계라고 설명했다. 남은 단계는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신규 금융사 인수를 통한 사업 영역 확대다.

현 시점에서 OK금융그룹이 인수 가능성을 따져볼 수 있는 증권사는 삼성증권, 키움증권, 교보증권, 유안타증권, SK증권, 한양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등 다수다. 이들 중 몇몇은 증권사 매물을 들여다보고 있는 우리금융지주와도 연결된다.

우리금융그룹 사옥. (사진=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지주는 국내 대형 지주사 가운데 유일하게 증권·보험 계열사가 없는 곳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우리금융그룹에서 핵심 계열사인 우리은행이 차지하는 실적 비중은 올 상반기 기준 96%로 다른 금융지주에 비해 높다.

우리금융지주 역시 높은 은행 의존도를 의식한 듯 증권사와 함께 보험사 인수 의지를 여러 차례 밝혔다. 최근 들어 임종룡 회장이 직접 보험사 인수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히거나 상상인 계열 저축은행 인수설의 주인공이 되는 등 경우의 수가 다양해졌으나 증권사 인수 기조만큼은 확고하다.

우리금융지주가 원하는 증권사는 중형급 이상의 리테일 기반 증권사다. 이와 관련, 이성욱 우리금융지주 재무 담당 부사장(CFO)은 지난 1분기 컨퍼런스콜에서 "균형 잡힌 수익 구조를 보유한 중형급 이상 증권사를 선호하고 있다"면서 1조~3조원대 자기자본을 갖춘 증권사 인수 의향을 밝힌 바 있다.

OK금융그룹과 우리금융지주 모두 증권사 인수를 위한 여력은 충분하다.

지난 2002년 원캐싱에서 시작한 OK금융그룹은 인수와 자회사 합병 등을 거쳐 사세를 확장해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에 신규 지정됐다. 이때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된 곳은 OK금융그룹을 포함해 총 8곳이다. OK금융그룹은 5조2260억원의 공정자산총액으로 총 76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74번째로 이름을 올렸다.

1년 뒤인 현재 OK금융그룹은 같은 순위를 기록 중이다. 공정자산총액은 5조6850억원으로 1년 새 4000억원 넘게 불었다. OK금융그룹이 계획대로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인수에 성공하면 그룹 내 계열사는 18개에서 20여개로 늘어날 수 있다.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2019년 지주사 출범 직후 중소형 증권사 인수를 적극적으로 고려했다. 2014년 임종룡 회장이 이끌던 NH농협금융지주에게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을 매각하면서 남은 증권 계열사 자리의 새 주인을 꾸준히 찾아본 셈이다.

당장 우리금융지주가 증권사 인수에 쏟아부을 수 있는 실탄은 7조~8조원으로 추산된다.

우리금융지주가 증권사 인수를 두고 고심하는 사이 OK금융그룹도 참전 의사를 밝히면서 경쟁 구도가 성립되긴 했으나 두 곳 모두 인수 대상과 시기 등 구체적인 조건을 정하진 않았다.

우리금융지주 관계자는 "증권사를 우선 인수하는 게 기본 방침"이라면서도 "여러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유동적"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OK금융그룹 관계자는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인수 계획은)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려면 다음 단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중장기적인 목표를 알린 것"이라며 "지금 단계에서 (인수 대상의) 규모나 시기 등을 정해두진 않았다"고 말했다.

동지훈 기자 jeehoon@bloter.net

 

 

▼기사원문 바로가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