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원문 바로가기
보통주 자본(CET1) 비율 관리 역량에 따라 3대 지방금융지주의 주주환원정책 운신 폭이 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CET1 비율은 주주환원책 기준으로 삼는 자본건전성 지표다. 금융당국의 규제 비율은 7%지만, 권고치는 12~13% 수준이다. 3대 지방금융지주 중에선 DGB금융이 11%대로 가장 낮아 주주환원 관련 적극성도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1분기 현재 기준 3대 지방금융지주의 CET1 비율은 BNK금융 12%, DGB금융 11.1%, JB금융 12.3%를 기록했다.
JB금융은 전분기 대비 17bp(1bp=0.01%p), BNK금융은 31bp 개선돼 12%대를 유지했다. DGB금융의 경우 16bp 나빠지면서 11%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CET1 비율은 순이익 성장률과 함께 위험가중자산(RWA) 관리에 따라 비율이 오르내린다. 올 들어 BNK금융은 RWA 관리에 집중하면서 대폭 개선돼 11%대에서 12%대로 올랐다. JB금융의 경우 높은 이익 체력도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비율을 유지하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DGB금융의 경우 핵심 자회사인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시도에 따른 대구·경북 외 지역에서 여신 영업을 확대하면서 위험가중자산이 늘어나 CET1 비율도 악화됐다.
이에 따라 CET1 비율 관리 역량에 따라 주주환원책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인 주주환원책인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은 기업이 벌어들인 현금 중에서 남는 돈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아해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지방은행 중 CET1 비율이 12%를 안정적으로 상회하고 있는 JB금융이 올해부터 분기 균등배당을 실시하며 가장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며 "BNK금융지주는 반기 배당, DGB금융지주는 기말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CET1 비율 관리 역량에 따른 것"이라고 봤다.
이어 "CET1 비율이 12%를 웃도는 지방은행들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일까지 마무리된 3대 지방금융지주 1분기 실적을 보면 BNK금융지주가 2500억원, DGB금융지주가 112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8%, 33.5% 감소한 순이익을 기록했다. 반면 JB금융지주는 6% 성장한 1730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BNK금융과 DGB금융은 각각 선제적 대손충당금으로 442억원, 518억원씩 적립하는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실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초롱 기자 twinkle@bloter.net
'재무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에 '속수무책' 당한 LG화학, '탈 석·화' 포트폴리오 전환 (0) | 2024.05.07 |
---|---|
동국제강, 혹독한 ‘분할 2년차’…’고부가·친환경’ 집중 (0) | 2024.05.07 |
'영풍제지 사태' 약 됐다…'미수이익' 버리고 체질 확 바꾼 키움증권 (0) | 2024.05.07 |
네이버 '조정 에비타' 5810억원…재무안전성은 (0) | 2024.05.07 |
‘재무체력’ 강점 세아그룹, ‘업황 둔화기’ 대처법 (0) | 202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