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원문 바로가기
[은행권 건전성 점검]⑤ IBK기업, 부실채권 관리 성과…김성태 행장 '다짐' 현실로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www.numbers.co.kr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올해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한다"는 연초 다짐을 성과로 입증하고 있다. 경기 하강 압력에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도 기업은행은 안정적으로 지표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행은 올해 사상 최대 순이익을 낼 것으로 점쳐지는데 대손 위험 부문이 주요 변수로 꼽힌다. 아울러 적정한 대출 성장으로 수익성과 보통주자본(CET1) 비율을 높여 배당에 기반을 둔 주주환원 정책에도 탄력이 붙는 모습이다.
15일 <블로터>가 1분기 6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은행) 고정이하여신(NPL) 커버리지비율을 분석한 결과 기업은행의 NPL커버리지 비율은 111.31%로 작년 말(114.03%)보다 2.72%p 하락했다. 은행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감소폭을 기록했다.
경기 침체가 지속하면서 주요 은행들의 NPL커버리지 비율은 큰 폭 하락했지만 기업은행은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아둬 방어에 성공했다. 중소기업 대출이 작년 말과 견줘 6조471억원 늘어 은행권 통틀어 가장 크게 늘었고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높다는 불리한 점도 극복한 셈이다.
기업은행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국책은행으로 원화대출금에서 중소기업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85% 수준이다. 다른 주요 시중은행이 40~45% 수준인 것과 비교해 크게 높은 수준으로 건전성 비율이 다른 은행 대비 낮을 수밖에 없다.
더욱이 기업은행의 올해 중소기업 대출 순증액 목표가 12조원이었는데 1분기에만 절반 이상 목표를 채워둬 대출 성장과 건전성을 조율하는 등 여유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의 1분기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1.34%로 작년 말과 같은 수치를 나타냈다. 총여신이 7조2255억원 늘었는데 정상여신이 7조198억원 증가해 대부분을 차지했다. 고정여신 증가는 681억원에 그쳤고 추정손실여신이 505억원 늘었으나 회수의문여신은 355억원 감소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떨어지지 않은 까닭은 기업은행이 상위등급에서 하위등급으로 전이를 막고 부실채권 상·매각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것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업은행은 1분기 부실채권 상·매각액은 5690억원으로 작년 1분기(4900억원) 대비 790억원가량 증가했다.
기업은행은 부실채권 매각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점을 고려해 매각보다 상각을 과감하게 한 것으로 파악된다. 올 1분기 부실채권 상각액은 2770억원으로 작년 1분기(1960억원) 대비 41.3% 증가한 반면 매각액은 2920억원으로 전년(2940억원)보다 소폭 감소했다.
김 행장이 앞서 "철저한 건전성 관리 아래 대손비용 및 조달원가 절감 노력을 병행하는 등 비용을 낮추고, 디지털 혁신을 통해 새로운 수익원도 확충하겠다"고 말한 다짐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은행은 1분기 충당금 전입액도 작년 1분기(3828억원)와 비교해 16.6% 감소한 3193억원으로 나타나 분기 최고 순이익 8086억원을 올릴 수 있었다.
다만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는 점은 점검해야 할 사안으로 꼽혔다. 기업은행의 1분기 연체율은 0.91%로 작년 말(0.80%)보다 0.11%p 높아져 다른 시중은행 대비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런 가운데 기업은행이 올해 사상 최고 순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고 CET1 비율도 개선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자 금융권 관심은 주주환원 정책에 쏠리고 있다. 금융투자 업계는 기업은행이 올해 2조7561억원으로 2023년 기록한 최고 순이익 2조6697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 기조와 금융당국이 기업대출에 대한 위험가중적용치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인 점도 CET1 비율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은행의 1분기 CET1 비율은 11.37%로 작년 말(11.32%) 대비 0.05%p 개선됐다. 앞으로 CET1 비율을 12.5%까지 올려 배당성향도 40%로 올린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기업은행은 CET1 비율 11~12% 구간에서는 배당성향을 35%로, 12~12.5% 구간은 배당성향을 40%로 정했다.
올해 CET1 비율이 12%를 넘기지 못하더라도 올해 주당배당금은 1135원으로 작년(1065원)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배당수익률도 7%대 중반대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 지원을 병행하면서도 자산 성장을 이루고 고객 기반 다변화 및 비이자이익 증가를 바탕으로 수익을 확대하겠다"며 "안정적 이익을 기반으로 점진적으로 CET1 비율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 rsj111@bloter.net
'재무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자수익 점검]② 신한금융, 보상비율 0.46…"포트폴리오 다각화+비이자이익 확대" (0) | 2025.05.20 |
---|---|
[이자수익 점검]① KB, 보상비율 0.55 '1위'…금리인하기 '리딩금융' 과제는 (0) | 2025.05.19 |
[은행권 건전성 점검]④ 우리, '체질 개선' 최우선…정진완표 리스크 관리 주목 (0) | 2025.05.15 |
[은행권 건전성 점검]③ 신한, 리딩뱅크의 아쉬운 '지표'…정상혁표 개선 카드는 (0) | 2025.05.15 |
[은행 건전성 점검]② KB국민, '지표 개선' 주력…이환주표 리딩뱅크 탈환 전략은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