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 841

[홈플러스 법정관리] 책임론 들끓는데…CJ바이오 사냥 나선 MBK

▼기사원문 바로가기  [홈플러스 법정관리] 책임론 들끓는데…CJ바이오 사냥 나선 MBKCJ제일제당이 그린바이오 사업부 매각을 두고 MBK파트너스와 협상을 재개했다. 홈플러스 사태로 경영 책임론이 들끓는 시점임에도 새로운 기업사냥에 나선 MBK로선 날 선 눈초리를 피하기 어려울www.numbers.co.kr  CJ제일제당이 그린바이오 사업부 매각을 두고 MBK파트너스와 협상을 재개했다. 홈플러스 사태로 경영 책임론이 들끓는 시점임에도 새로운 기업사냥에 나선 MBK로선 날 선 눈초리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CJ제일제당 역시 거래가 성사될 경우 MBK 품에 들어갈 내부 임직원의 동요와 반발이 예상돼 적지 않은 부담이 따를 전망이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그린바이오 사업..

Deal/PE 2025.03.10

티몬 구세주로 떠오른 오아시스, '회생 돌파구' 될까

▼기사원문 바로가기    티몬 구세주로 떠오른 오아시스, '회생 돌파구' 될까오아시스가 티몬 인수 의사를 밝히면서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겪은 티메프의 회생 절차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제3자 인수 없이 회생이 어려웠던 만큼 절차가 지연됐으나 신선식품 새벽배송www.numbers.co.kr  오아시스가 티몬 인수 의사를 밝히면서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겪은 티메프의 회생 절차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제3자 인수 없이 회생이 어려웠던 만큼 절차가 지연됐으나 신선식품 새벽배송에 강점을 가진 오아시스가 티몬을 성공적으로 인수해 티메프의 회생이 마무리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7일 조인철 티메프 총괄 법정관리인에 따르면 이날 마감 예정이었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 4월7일로 연장됐다. 지난해 9월10일 개시된 티몬..

Deal/M&A 2025.03.10

어피니티, 교보생명 지분 9.05% 전량 매각…풋옵션 분쟁 종결 수순

▼기사원문 바로가기   어피니티, 교보생명 지분 9.05% 전량 매각…풋옵션 분쟁 종결 수순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와 싱가포르투자청(GIC)이 보유하고 있던 교보생명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 이에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과 어피니티컨소시엄 사이에 벌어진www.numbers.co.kr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와 싱가포르투자청(GIC)이 보유하고 있던 교보생명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 이에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과 어피니티컨소시엄 사이에 벌어진 풋옵션(주식매수청구권) 분쟁이 종결 수순에 접어 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어피니티는 교보생명 지분 9.05% 매각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어피니티와 함께 교보생명 지분 4.5%를 보유하고 있던 싱가포르투자청도 전량 매..

Deal/PE 2025.03.10

[홈플러스 법정관리] MBK發 '먹튀 꼬리표' PEF들 '불안한 눈빛'

▼기사원문 바로가기   [홈플러스 법정관리] MBK發 '먹튀 꼬리표' PEF들 '불안한 눈빛'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면서 MBK파트너스를 두고 '먹튀 논란' 등 거센 비판이 일자 사모펀드(PEF) 업계의 시선도 민감해지고 있다. 최근 MBK의 행보로 PEF를 향한 부정적 이미지가 부각www.numbers.co.kr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면서 MBK파트너스를 두고 '먹튀 논란' 등 거센 비판이 일자 사모펀드(PEF) 업계의 시선도 민감해지고 있다. 최근 MBK의 행보로 PEF를 향한 부정적 이미지가 부각하면서 당국의 규제 강화 등으로 불똥이 튈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7일 투자은행(IB) 및 법조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4일 자정 서울회생법원에 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하고 법원은 개시..

Deal/PE 2025.03.10

[홈플러스 법정관리] 이마트 오너경영 vs 홈플러스 사모펀드 경영

▼기사원문 바로가기   [홈플러스 법정관리] 이마트 오너경영 vs 홈플러스 사모펀드 경영국내 대형마트 양대 축의 표정이 엇갈렸다. 이달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취임 1주년을 맞아 자축포를 쏜 이마트가 본격 턴어라운드를 선언한 반면, 홈플러스는 최대주주 MBK파트너스의 경영실www.numbers.co.kr국내 대형마트 양대 축의 표정이 엇갈렸다. 이달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취임 1주년을 맞아 자축포를 쏜 이마트가 본격 턴어라운드를 선언한 반면, 홈플러스는 최대주주 MBK파트너스의 경영실책에 해묵은 노사분쟁까지 겪다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두 기업은 모두 대형마트를 둘러싼 외부의 위협 등으로 처지가 같았으나, 오너 경영과 사모펀드 경영이라는 체제의 차이가 컸다. 존속과 매각, 지향점이 다른 두 가지 방식의 ..

Deal/PE 2025.03.10

[홈플러스 법정관리] 자구책 '패싱' 회생 '직행' MBK '노림수'

▼기사원문 바로가기  [홈플러스 법정관리] 자구책 '패싱' 회생 '직행' MBK '노림수'홈플러스가 자구책을 건너 뛰고 기업회생절차로 직행하면서, 최대주주이자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의 노림수가 무엇일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겉으로 내세우는 명분은 자금줄 확www.numbers.co.kr홈플러스가 자구책을 건너 뛰고 기업회생절차로 직행하면서, 최대주주이자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의 노림수가 무엇일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겉으로 내세우는 명분은 자금줄 확보지만, 가뜩이나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을 치르고 있는 와중 비난을 감수하고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보다 원활한 투자금 회수 등 다른 포석이 깔려 있다는 해석이다. 6일 투자은행(IB) 및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홈플..

Deal/PE 2025.03.06

[홈플러스 법정관리] 연 4000억 '출혈' MBK만 덕 본 세일앤리스백

▼기사원문 바로가기  [홈플러스 법정관리] 연 4000억 '출혈' MBK만 덕 본 세일앤리스백법정관리에 들어간 홈플러스가 부동산 등 임대료로만 매년 4000억원이 넘는 비용을 부담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하고 있던 오프라인 점포들을 팔아 현금화하고, 이를 다시 빌려 영업을 이어www.numbers.co.kr 법정관리에 들어간 홈플러스가 부동산 등 임대료로만 매년 4000억원이 넘는 비용을 부담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하고 있던 오프라인 점포들을 팔아 현금화하고, 이를 다시 빌려 영업을 이어가는 세일앤리스백 전략이 자충수가 됐다는 지적이다. 5조원에 달하는 빚을 내 홈플러스를 손에 쥔 후 이런 방식으로 이미 수 조원에 달하는 돈을 갚은 것 아니냐는 의구심과 함께, 결국 최대주주이자 사모펀드인 MBK..

Deal/PE 2025.03.06

[인터뷰] 신재혁 스카이월드와이드 대표 “변화에 앞서는 AI 솔루션 기업 목표”

▼기사원문 바로가기  [인터뷰] 신재혁 스카이월드와이드 대표 “변화에 앞서는 AI 솔루션 기업 목표”“광고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진짜 광고가 무엇인지’ 고민한다. 어떤 방식이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나저러나 광고의 본질은 결국 ‘널리 알리는 것’이www.numbers.co.kr“광고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진짜 광고가 무엇인지’ 고민한다. 어떤 방식이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나저러나 광고의 본질은 결국 ‘널리 알리는 것’이다.” 신재혁 스카이월드와이드 대표(사진)는 지난달 25일 서울 사무소에서 와 인터뷰를 통해 광고업계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광고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은 결국 "내 돈을 들여 광고를 한다면 어떤 광고를..

Deal/M&A 2025.03.06

[홈플러스 법정관리] MBK, 홈플러스 인수 뒤 자산 4조 매각…고려아연으로 불똥튀나

▼기사원문 바로가기  [홈플러스 법정관리] MBK, 홈플러스 인수 뒤 자산 4조 매각…고려아연으로 불똥튀나MBK파트너스(이하 MBK)로 주인이 바뀐 이후 홈플러스가 자산 매각 등을 통해 확보한 현금만 4조원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산 효율화를 내세운 MBK의 경영 방식이 기업 경쟁력을 오히려 훼손한www.numbers.co.kr MBK파트너스(이하 MBK)로 주인이 바뀐 이후 홈플러스가 자산 매각 등을 통해 확보한 현금만 4조원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산 효율화를 내세운 MBK의 경영 방식이 기업 경쟁력을 오히려 훼손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홈플러스는 지난 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홈플러스가 낸 보도자료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가 홈플러스 단기신용등급을 'A3'에서..

Deal/PE 2025.03.06

[홈플러스 법정관리] 상품권 '손절' 나선 유통업계, 거세지는 MBK 책임론

▼기사원문 바로가기  [홈플러스 법정관리] 상품권 '손절' 나선 유통업계, 거세지는 MBK 책임론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 후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서 유통업계 전반에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MBK는 이번 회생 절차가 잠재적 자금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선www.numbers.co.kr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 후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서 유통업계 전반에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MBK는 이번 회생 절차가 잠재적 자금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는 입장이지만 신용등급이 지난해 A3-에서 D(디폴트)로 떨어지면서 홈플러스와 상품권 제휴를 맺었던 업체들이 일제히 상품권 사용 제한 조치를 취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사모펀드의..

Deal/PE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