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vernance/ESG 13

주주총회서 ‘ESG 경영’ 내세운 기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투자자에게 기업의 경영 철학은 투자 지침서와 같습니다. 지배구조 개선, 기업가치 정상화 등은 기업 가치와 직결되는 이슈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엔 ‘환경·사회·지배구조’를 의미하는 ESG(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경영도 포함됩니다. 환경 보호를 중시하는 투자자들은 ESG 경영을 내세운 기업에 투자 결정을 내리기도 하죠. 이번 시간은 ESG 펀드가 실제 얼마나 수익을 내고 있는지, 지난해 ‘안티ESG 펀드’가 힘을 얻은 이후 어떻게 지속 운용되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ESG 경영을 내건 기업이 투자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도 살펴봤습니다. 🌍 당신에게 들려줄 이야기 · 해외 ‘ESG 펀드’ 수익률은? · 안티 ESG 펀드의 주장 · ESG 투자, 여전히 유효한 이유(fe..

Governance/ESG 2024.01.15

‘ESG 회의론’ 향한 반박 ‘실제 펀드 성과’...수익률 최대 40%대, 중장기 매력 여전

최근 미국 시장에서 ESG(환경·사회·거버넌스) 투자를 향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습니다. 고금리,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여유가 줄어든 탓이지요. 하지만 글로벌 경제흐름은 여전히 ESG 경영과 투자를 공고히 하는 모습입니다.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도 ESG 대응은 여전히 기업 경영의 핵심 화두를 차지하기 때문이지요. 에서는 이번에 ESG가 미국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회의론에도 어떻게 장기적 가치를 증명하면서 존재감을 보이고 있는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COP289 ‘탈화석연료 전환’ 합의 도출…기후전환 투자 모색 지난해 12월 13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이를 방증하는 회의가 열렸습니다. 제28차 유엔(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28..

Governance/ESG 2024.01.06

HJ중공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첫 발간' ESG 실태는

HJ중공업이 처음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ESG 경영 강화를 위한 행보다. HJ중공업은 2022년 홍보실 산하 조직으로 ESG기업문화팀을 설치했다. 올해는 ESG위원회를 구성해 지속 가능 경영에 힘을 싣고 있다. HJ중공업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ESG 경영 이해 당사자를 세분화해 점수를 매겨 측정한다고 밝혔다. ESG 경영의 이해 당사자를 각각 고객, 임직원, 지역사회, 협력사, 주주 및 투자자로 나눠 부문별로 핵심 이슈를 도출했다. 환경 측면에서는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감축과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과제로 꼽혔다. 사회 면에선 산업 안전보건 관리체계 강화, 공정한 성과 평가와 보상이 핵심 이슈로 선정됐다. 지배구조 차원에선 윤리경영 체계 확립과 지속 가능 경..

Governance/ESG 2023.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