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31 4

인터밸류파트너스, '13대 1' 경쟁률 뚫고 모태펀드 출자 낙점

인터밸류파트너스가 13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모태펀드 특허계정 출자사업에 선정됐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벤처투자는 '모태펀드 특허계정 2023년 8월 수시 출자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1곳이 선정됐는데 인터밸류파트너스가 주인공이다. 125억원을 출자받아 의무 결성해야 하는 조합 금액은 210억원이다. 앞서 한국벤처투자는 지난 8월 모태펀드 특허계정 수시 출자사업 계획을 공고했다. 출자 대상은 벤처투자조합뿐 아니라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사모집합투자기구 등이다. 운용사(GP) 1곳을 선정한다고 했는데 13곳이 접수를 했다. △노보섹인베스트먼트-바로벤처스 △동문파트너즈 △벡터기술투자 △시너지IB투자 △아이디어브릿지파트너스 △에이온인베스트먼트 △에트리홀딩스-한국특허투자 △위벤처스 △이노큐브-다래전략사업..

VC 2023.10.31

[아시아나항공 M&A]⑤ 대한항공의 시간끌기, 독자생존 어려워진 아시아나

아시아나항공이 화물사업부 매각건을 두고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반면, 대한항공은 EU집행위원회(EC)에 ‘선(先) 통합 후(後)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매각’이 담긴 시정조치안을 의결했다. 아시아나항공의 고심 속, 대한항공이 화물 매각 카드를 밀어붙이는 까닭에 대한 의구심이 적지 않다. 일각에서는 화물 매각 등으로 기업결합 심사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아시아나항공의 영업력만 악화한다는 시선도 보낸다. 아시아나, 화물 매각 여부 두고 고심...내달 초 결정난다 3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전날 임시 이사회를 열고 EU집행위원회(EC)에 제출할 화물 사업 매각을 포함한 대한항공의 시정조치안 제출 안건에 대해 논의했으나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이사회가 결론을 내지 못한 이유는 화물사업부 매각시 ..

Deal/M&A 2023.10.31

결론 못낸 아시아나항공 이사회, 추후 다시 열기로...장소·시간 미정

아시아나항공 이사회가 30일 자사의 화물사업부 매각안이 담긴 대한항공의 시정 조치안을 두고 치열한 논의를 진행했지만 끝내 동의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 찬반 양측이 팽팽하게 대립하면서 또 다시 정회했다.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이번 이사회는 추후 다시 열릴 예정이다. 일시와 장소는 정해지지 않았다. 이사회는 오후 2시 넘어 서울 모처에서 논의를 시작했다. 오후 5시에 정회한 후 6시쯤 속개했지만 4시간 넘는 회의에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찬성 측은 대한항공과의 합병이 아시아나항공 정상화를 위한 유일한 대안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 측은 화물사업 매각으로 아시아나항공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우려하며 제3자 매각안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아시아나항공 이사회를 하루 앞둔 29일 반대 측인 진광호 ..

Deal/M&A 2023.10.31

한국벤처투자 "운용사 ESG 평가모델 확립...지속가능투자 고도화할 것"

“지난해 한국벤처투자에서 1조5000억원을 출자했는데 창출한 사회적 가치는 3조원으로 추산된다. 지속가능한 벤처생태계 실현을 위해선 사회적 성과를 정교하게 측정해 투자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게 해야 한다. 운용사(GP)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데이터 매트릭스를 구축하고 ESG 평가모델을 확립해 단계적으로 지속가능한 투자 원칙을 고도화하는 것이 목표다.” 유웅환 한국벤처투자(모태펀드 운용기관) 대표는 30일 서울 강남 조선 팰리스에서 열린 ‘2023 한국벤처투자 ESG Initiative’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는 국내 벤처투자 업계의 지속가능한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속가능한 투자는 재무적 요인뿐 아니라 ESG 요인을 고려해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전략이다. 행사에는 정부 부처를..

VC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