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0 5

"CVC 투자 '스타트업 생존확률·기업가치' 높인다"

“(피치북 벤처투자 데이터 분석 결과) CVC(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은 살아남을 확률이 높을뿐 아니라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할 때 더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마이야 팔머(Maija Palmer) GCV(Global Corporate Venturing, 영국 미디어 기업) 수석 에디터는 10일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열린 ‘2023 글로벌 CVC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한국벤처캐피탈협회(VC협회)·한국벤처투자·GCV 주관으로 열린 이날 행사는 지난달 VC협회 산하 CVC 협의회가 출범한 뒤 처음 열린 행사다. 민간 주도 CVC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엔 국내외 CVC 80여개사 등 벤처투자 관계자 160여명이 참석..

VC 2023.11.10

'파두' 초기투자 한 포레스트파트너스, 잇단 주식처분 '1110억' 회수

국내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포레스트파트너스가 올해 하반기 기업공개(IPO) 대어로 꼽혔던 '파두' 지분 처분에 나서 관심이 쏠린다. 포레스트파트너스는 2016년 파두의 시드 투자부터 시리즈A,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까지 모든 단계 투자에 참여해 온 성장 파트너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세쿼이아트리5호 세컨더리 벤처투자조합과 에프피파인트리1호 등 포레스트파트너스의 출자 펀드는 이달 3일부터 8일까지 수 차례에 걸쳐 주식 334만4496주(6.92%) 중 136만6063주(2.86%)를 장내매도했다. 올 7월 상장한 이후 약 3개월이 지나며 보호예수가 해제된 물량을 처분한 것이다. 처분단가는 3만3000~3만4000원 사이로 약 458억원을 회수한 것으로 추산된다. 포레스트..

Deal/PE 2023.11.10

[우리금융, 위험한 상상]③ M&A 승부사 임종룡 회장은 왜 무기력해졌나

NH농협금융의 핵심 계열사이자 증권업계 자기자본 '빅5'인 NH투자증권(구 우리투자증권)을 만든 주인공은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다. 2014년 당시 임종룡 NH농협금융 회장은 매물로 나온 우리투자증권 인수를 직접 진두지휘해 KB금융그룹을 이겼고, NH투자증권을 증권업계 1위까지 올려놓기도 했다. '엘리트 관료'로만 여겨졌던 임 회장의 이미지가 '유능한 CEO'로 바뀐 건 이 업적이 결정적이었다. 2023년의 임종룡은 우리금융지주 회장으로 영전해 그룹에 없는 증권사를 다시 채워넣어야 하는 임무를 맡게 됐다. 그때와 지금 임 회장에 대한 평가는 자못 다르다. 10여년전 M&A시장에 보여줬던 '야성'이 보이질 않는다. 당시 금융당국의 두터운 신임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러한 '푸시'도 뚜렷하지 않다. 그룹 ..

Deal/M&A 2023.11.10

종투사 전환 앞둔 대신증권, 지표개선 ‘총력’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대신증권이 재무지표 개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증권업계가 위기에 처한 가운데, 관련 사업을 확대한 대신증권도 수익 감소를 줄이기 위해 자산재평가를 실시하는 등 건전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10일 신용평가 업계에 따르면 대신증권의 신용등급 주요 지표인 조정순자본비율이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했다. 부동산 채무 보증수수료가 줄어든 와중에 부실채권 발생에 따른 대손비용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대신증권은 61년의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위탁매매 부문에서 양호한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 위탁매매란 증권업자가 고객의 의뢰를 받고 증권을 매매하는 것을 말한다. 올해 상반기 기준 위탁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테일부문 영업이익은 97..

'지역 환경 보호'에 힘 쓰는 기업, 투자 관점에서 주목해야 하는 이유

여기 지역의 환경 보호에 '진심'인 기업이 있습니다. 지역 내 폐기물을 새 제품으로 생산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해 소비자들에게 환경을 위한 교육에도 나서는데요. 앞으로는 이런 기업이 투자하기에도 좋은 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자연 자본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 이하 TNFD)가 권고안을 통해이렇듯 기업이 지역 내 ‘자연 자본’을 고려해야 한다고 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연 자본이 뭐기에 협의체까지 구성됐을까요? TNFD에 앞서 구성됐던 '기후 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 (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 이하 TCFD)와는 어떻게 다른지..